[무라카미 타카시] 오타쿠 문화의 주류화
무라카미를 상징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활짝 웃는 꽃
영미권에서는 'Happy Flower', 'Murakami Flower' 등으로 불린다. 무라카미는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웃는 꽃 캐릭터를 통해 활짝 웃는 얼굴 이면에 숨겨진 절망과 공포를 드러내고자 했다고 한다.
무라카미 타카시(村上隆, むらかみたかし, 1962~)
일본의 현대 미술가 겸 팝아티스트이다.
그가 유명해진 이유 중 하나는, 일본 전통회화 방식인 림파(琳派)나 우키요에(浮世絵) 등의 작법과 현대일본의 서브컬쳐인 오타쿠 문화를 접목하여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낸 것이다.
스스로를 오타쿠 예술가로 지칭하는 아티스트이며, 그만큼 일본 오타쿠 코드를 대놓고 가져다 쓰는 예술가다. 무라카미 타카시는 회화, 조각 등의 순수미술과 패션, 애니메이션 등 상업 미술 양쪽에서 모두 작업하며, 그를 통해 고급 예술과 저급 예술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략적 접근
그는 왜 일본의 서브컬처에 주목했을까?
무라카미는 일찍이 전후 일본에 있어서는,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미술 시장이 부재하다는 사실에 절망했다. 때문에 그는 먼저 서구 미술에서 자신의 입지를 세운 후 일본으로 돌아가 새로운 종류의 미술 시장을 만들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일본 문화와 역사의 고유한 면에서 기반하지만, 참신하고 글로벌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그는 '일본 고유의 것'을 찾기 시작했다.
그는 '고급 예술'의 요소들이 최고라는 것에 의심을 가진 후, 일본의 '저급' 문화, 특히 애니메이션(アニメ)와 일본 만화, 그리고 오타쿠 문화 등의 폭넓은 하위문화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의 미술 스타일과 모티브(밝은 색으로 작업된 귀엽거나 불안해 보이는 애니메이션 그림체의 인물, 애니메이션 여성의 등신대 조각)는 이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오타쿠 문화'를 미술이라는 고급문화에 접목시켰다는 평을 듣는 그는 일본의 전통 미술과 대중문화를 원천으로 '슈퍼 플랫'의 개념을 만들어 냈다.
슈퍼플랫(SuperFlat): 과거와 현재, 독창적인 것과 모방적인 것, 고급과 하위문화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시도. 즉, 슈퍼플랫은 상업 디자인, 일본 만화의 과한 표현, 순수 미술의 심미성 등을 모두 포함하며 예술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결합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그럼 그의 독창적인 작품들을 살펴보자.
작품 설명
● 란도셀 프로젝트 (1992)
란도셀은 에도시대 막부에 서양식 군대 제도를 도입할 때 수납 기능을 위해 란도 백팩을 이용했던 것이 발상이라고 한다. 에도시대 이후, 서양식 군대 방식을 도입하던 육군 보병군도 사용했으며, 이후 아이들이 전시(戦時)에 재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가방으로써 통학용 가방으로 채택되었다. 이 란도셀 프로젝트는 워싱턴 조약으로 거래가 금지되어있는 타조, 바다표범, 카이만 악어, 하마 등의 희귀동물의 가죽을 사용해 가쿠슈인 납품 책가방 제조업체에 제작시킨 작품이다. 무라카미 타카시는 귀여운 아이들의 상징으로서의 책가방을 정치성이 강한 메세지로서 표현했다.
● 727(1997)
무라카미 타카시는 31살때 사랑스러움과 섬뜩함을 캐릭터화시킨 「DOB군」을 발표했다. 「727」은 무라카미 타카시가 오랜 세월 연구해 온 전통 일본 회화의 삼폭(三幅) 형식으로 그려졌으며, 일부러 사포질을 하여 오래되어 보이는 효과를 주었다. 「DOB군」은 일본화를 배경으로 입을 크게 벌리면서 일본회화의 전통적 묘사방식인 구름을 타고 떠돌고 있다. 이 작품은 현대 일본 만화와 전통 일본화를 특징으로 제작되어 MoMA 컬렉션에 선정되었다.
● Flower(2002)
무라사키 타카시의 대표적인 이미지인 '표정이 있는 꽃".
무라카미가 도쿄예술대학에 지원하기 위해 매일 꽃을 그렸던 것에 착안하여 '꽃 시리즈'가 만들어졌다. 일본인의 감성을 가진 귀여운 캐릭터 산업을 미술의 영역과 융합하여 표현하는 제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이야말로 아트를 비즈니스로서 움직이게 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능력이며, 서구의 아트 마켓이 열광하는 이유기도 하다. 이 꽃은 다양한 작품이나 상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쿠션이나 인형, 나카노 브로드웨이에 있는 "となりの開花堂 (옛 Bar Zingaro)"에서는 쿠키로 매달 새로운 디자인으로 판매되는 인기 있는 모티브이기도 하다.
● 루이비통과의 콜라보(2002, 2003)
루이비통의 아티스틱 디렉터였던 마크 제이콥스와의 콜라보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5회에 걸쳐 발표되었다.
무라카미 타카시는 "다수의 눈을 나란히 놓아서 사람을 계속 지켜보고 있는 압박감을 주도록 했다"며, 슈퍼플랫이론의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눈이 그려진 "メメクラゲ"를 만들어냈다고 이야기한다.
● DOB군과 나 (2010)
꽃을 배경으로 캐릭터화된 무라카미 타카시와 「DOB군」.
「DOB군」은 전통 일본화로부터 현대미술로 나아가기까지의 무라카미 타카시씨, 그 자신의 아이콘나 마찬가지인 캐릭터로서,
패전 후 일본이 미국문화 추종하는 것을 캐릭터 문화로 표현했다. 「DOB군과 나」 는 무라카미 타카시 자신의 아이콘으로서 생겨난 「DOB군」.과 자신을 함께 그린 상징적인 작품이다.
● 저런거 좋다, 됐으면 좋겠다 (あんなこといいな 出来たらいいな, 2017)
국민적인 애니메이션, '도라에몽'과의 콜라보. 꽃을 배경으로 도라에몽의 원작 씬에서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와서 실크 스크린에 제작되었다. 이 작품을 2002년 'THE 도라에몽 전'의 '당신의 도라에몽을 만드세요'라는 테마를 의뢰받아 만들어졌다. 정 가운데는 어디든 갈 수 있는 문과 도라에몽, 노비타군을 배치했고, 그 주변에는 여러 개의 다른 씬을 그려 넣었다. 무라카미 타카시는 유니클로와도 콜라보하여 그의 도라에몽은 티셔츠, 인형 등으로도 제작되었다.
● 꽃의 아들 (2020)
롯폰기 힐즈와의 콜라보레이션 「ROPPONGI HILLS TAKASHI MURAKAMI PROJECT」로 만들어진 「꽃의 부모와 자식」. 롯폰기 힐즈 66플라자에 설치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10미터에 달한다. 어느 각도에서 감상해도 다른 표정을 볼 수 있도록 금박으로 장식된 꽃을 전면에 배치했다. 이 작품을 제작할 당시, 그가 운영하는 회사인 카이카이키는 파산 직전이었지만, 그는 '꽃의 아들' 제작을 계속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무라카미 타카시는 「 나의 작품은 해피한 캐릭터들이 싱글벙글 웃고 있으므로, 나의 인격이나 제작 현장도 유쾌하고 해피할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꿈을 창조한다는 것에는 언제나 구역질 날 정도의 고뇌가 따른다」라고 말한다.
● 참고자료
https://media.thisisgallery.com/20216848